우리나라의 공룡발자국을 찾아서!
    원데이
    자연/과학
    과학상식

우리나라의 공룡발자국을 찾아서!

5

후기 1

공룡 발자국이 다수 발견된 해남 공룡화석지! 과연 이곳에는 어떤 공룡들의 흔적이 남아 있을까요? 수천만 년 전, 이 땅의 모습은 어땠을까요? 우리나라 남해안의 신비로운 공룡 발자국 화석지를 함께 탐방해봅시다.

5,000

0

첫 구매 최대 혜택가
수업 유형

원데이 수업

권장 연령

11세 ~ 13

수업 인원

최대 6

수업 시간

60

다시 보기
화석 교사

화석 교사

5.0

2개의 누적 후기

수업 소개

스케줄

선생님 정보

후기

0

🦕공룡 발자국 화석지, 해남으로 떠나요!

지금은 남해안 일대인 전라남도 해남군.

그곳에서는 수많은 공룡의 발자국이 발견되었는데요!

그렇다면 왜 거기에 수많은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을까요?

과연 공룡이 살던 시대에 해남의 모습은 지금과 무엇이 달랐을까요?

해남의 공룡 화석지에 남아있는 흔적을 통해서

과거 공룡시대의 남해안 모습이 지금과 무엇이 달랐을지 알아봐요!

 

▲ 해남 공룡발자국 화석지의 퇴적층
→ 과거의 환경을 보여주는 열쇠이다.

▲ 해남 발자국 화석지의 잠자리 유충이 기어간 흔적 화석


🧐해남에서는 어떤 종류의 발자국이 발견되었을까?

해남에 있는 공룡발자국화석지에서는

많은 종류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과연 어떤 종류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을까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익룡의 발자국, 별 모양의 흔적이 남아있는 발자국 등

해남에서 발견된 발자국 화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봐요!

▲ 별 모양의 흔적이 남아있는 공룡의 발자국 화석

▲ 해남에서 발견된 세계 최대 크기의 익룡 발자국

 


✅수업은 이렇게 진행돼요!

📍 직접 촬영한 생생한 현장 사진으로 당시의 모습을 눈앞에서 보는 듯!
📍 퀴즈와 토론으로 살아 숨 쉬는 수업
📍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말하는 '나만의 고생물 이야기' 시간까지!

- 출석 및 인사 (3분)

- 배경 설명 (52분)

1. 왜 우리나라에서는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될까? (10분)

- 공룡 시대떄 우리나라의 모습

- 공룡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

2. 공룡의 발자국 종류 (10분)

- 공룡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른 발자국

3. 해남에서 발견된 발자국 (22분)

-  육식 공룡의 발자국

-  새 발자국

-  초식 공룡의 발자국

-  목긴 공룡의 발자국


4. 익룡 발자국 알아보기 (10분)

- 익룡 발자국으로 배운 것 정리


- 퀴즈 (5분)


💡 수업을 통해 배우게 될 것들

  • 공룡이 살던 시절, 우리나라의 과거 지형과 생태

  • 실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발자국 화석의 가치와 의미

  • 한반도에서 살았던 다양한 고생물의 종류와 특징

"화석은 단순한 돌이 아니에요.
그건 수천만 년 전 생명들의 메시랍니다!"


과거를 배우며, 미래를 상상해보는 시간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 수업과 비슷한 수업


이런 친구들에게 추천해요

추천해요
  • 공룡을 좋아하는 누구나

필독
원데이 수업 안내
  • 스케줄 48시간 이내 취소하시는 경우, 시점에 따른 취소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 스케줄 48시간 이전에 취소하시는 경우, 취소 수수료 없이 전액 환불됩니다.

  • 스케줄의 변경은 취소 후 재신청으로 진행 가능합니다.

  • 선생님이 스케줄을 취소하시는 경우, 전액 환불되며 사용한 쿠폰은 복구됩니다.

선생님 정보

화석 교사

5.0

2개의 누적 후기

선생님-프로필

우리나라 여러 지역과 미국, 몽골에서 화석을 발굴한 경력이 있어요. 또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여러 화석을 연구해서 학술지에 결과물을 실기도 했어요. 현재도 세계의 여러 학자들과 공동으로 화석을 연구하고 있어요.

이력 사항

이력 사항

2024년 6월 29일 한반도 중생대 수서딱정벌레 화석 학계에 보고 (LEE, S. B., CAI, C. Y., ENGEL, M. S., NAM, G. S., & PARK, J. K. (2024). Cretaceous beetles of the Jinju Formation (Coleoptera: Hydrophiloidea). Palaeoentomology, 7(3), 443-452.)

2024년 6월 1일 공룡의 날 오픈마이크 행사 '공룡시대의 한반도' 강연 국립중앙과학관

2024년 5월 30일 기록융합강연회 '화석이 말하는 기록들'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리센터

2024년 4월 25일 '남한 두호층(중기 마이오세)에서 발견된 첫번째 조롱박먼지벌레 (딱정벌레목:딱정벌레과: 조롱박먼지벌레아과)화석' 학술발표 -Lee, S.B., Nel, A., Nam, G. S., (2024). The first fossil Scarites (Coleoptera: Carabidae: Scaritinae) from the Duho Formation (Middle Miocene), South Korea: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ossil Insects, Arthropods and Amber

2024년 3월 30일 '오래 전에 존재했던 것들의 흔적' 북토크 강연 과학까페 쿠아

2024년 1월 31일 화석이 말하는 것들 -죽고 사라진 것들의 흔적에 관하여- 출간

2023년 10월 31일 10월의 하늘 '북한에서 발견된 화석 ' 강연 인천 미추도서관

2023년 10월 30일 한반도 중생대 원시딱정벌레 화석 학계에 보고 (Lee, S. B., Nam, G. S., Park, J. K., Lee, B. H., & Li, Y. D. (2023). Cretaceous beetles of the Jinju Formation (Coleoptera): Archostemata. Palaeoentomology, 6(5), 496-506.)

2023년 8월 4일 '진주층의 딱정벌레: 곤충 군집과 백악기 초기의 한반도 고생태' 학술발표 -Lee, S.B.,Cai, C.Y., Engel, M.S., Li, Y.D., Nam, G.S., Park, J.G., (2023). Coleoptera from Jinju Formation: Insect faunaand Paleodiversity of Korea during early Cretaceous: 2nd Asian Palaeontological Congress-

2023년 6월 24일 '다윈의 진화론과 자연선택' 강연 과학까페 쿠아

2023년 5월 24일 한반도 신생대 딱정벌레 화석 학계에 보고 (Lee, S. B., Nel, A., & Nam, G. S. (2023). The first fossil Scarites (Coleoptera: Carabidae) from the Duho Formation (middle Miocene), Korean Peninsula. Palaeoworld.)

2023년 KBS 다큐멘터리 '히든 어스' 자문

2022년 10월 31일 10월의 하늘 '공룡의 발자국 – 우리나라는 왜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될까?- ' 강연 인천 미추도서관

2022년 10월 10일 '한반도 첫번째 명주딱정벌레 화석과 명주딱정벌레속의 화석기록 리뷰' 학술발표 -Lee, S.B., Nam, G.S., (2022). First Calosoma fossil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a review of the fossil record of the genus Calosom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v. 54, no. 5, doi: 10.1130/abs/2022AM-379686-

2022년 9월 7일 한반도 중생대 원시딱정벌레 화석 학계에 보고 (Lee, S. B., Nam, G. S., & Li, Y. D. (2022). A new species of Notocupes (Coleoptera: Archostemata) from the Lower Cretaceous (Albian) Jinju Formation in South Korea. Cretaceous Research, 140, 105357.)

2021년 11월 26일 한반도 신생대 딱정벌레 화석 학계에 보고 (Lee, S. B., & Nam, G. S. (2021). A new species of fossil Calosoma (Coleoptera: Carabidae) from the Geumgwangdong Formation (Early Miocene), South Korea. Zootaxa, 5072(1), 1-11.)

2021년 10월 31일 10월의 하늘 '알려지지 않은 화석의 보고 포항' 강연 광주광역시 신가도서관

2021년 10월 5일 ~ 아무도 몰랐던 과거 생물 이야기 시리즈 연재: 울산저널

2020년 5월 9일 ~ 고생물학 칼럼 연재: 고생물학 도서와 논문을 읽는 세계 https://dinos119.tistory.com/

2016년 몽골 고비사막 공룡화석 탐사 참가 (8월 14일 ~ 8월 21일), 2018년 미국 몬테나주 화석 발굴 탐사 참사 (8월 3일 ~ 8월 11일)

선생님 정보 더보기

수업 후기

1

프로필 이미지

M****

11

2025. 6. 29 오전 1:16:40

선생님이 실제 찍으신 자료를 가지고 꼼꼼하게 가르쳐주셨어요. 차분하게 공룡발자국, 화석, 지구과학까지 알고픈 학생들에게 큰 도움될 수업입니다. 중간중간 질문있는지 이해하는지 물어봐주셔서 좋았습니다. 해남으로 공룡발자국 보러 가야겠어요^^

11-13세 연령의 추천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