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푸코, 시대 권력의 무의식적 억압을 밝히려고 했던 프랑스 철학자, [감시와 처벌] [담론의 질서], Gutting, Gary, "Michel Foucaul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4 Edition), Edward N. Zalta (ed.), 진태원, 푸코의 주체화 개념 – 주체화 (subjectivaion) II, 2012년 10월 통권 018호, 사람과 글 人ㆍ文
11. 니체 [즐거운 지식] 박영사, 박준택역, 1985, p114, 제1서
12. 석가모니,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모든 고통과 다툼의 근원은 나와 남이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임을 깨달은 자, [금강반야바라밀경]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제4
13. 한비자, 법술세(法術勢)에 의한 통치를 주장한 전국시대 정치 철학자, [한비자•순자•묵자] 삼성출판사, 배종호역, 한비자, p105, p130, p186
14. 루소, 인간 불평등이 소득의 분배 구조에 있다고 생각한 사회계약론자, [사회계약론] 주니어김영사, 손영운저, p186, 제10장
15. 플라톤 [국가] 주니어김영사, 손영운저, p108,p183, 제6장
16. 칼릴지브란, 사랑과 영혼의 자유를 노래한 레바논 시인, [예언자, On Giving] For what are your Possessions but things you keep and guard for fear you may need them tomorrow? Is not dread of thirst when your well is full, thirst that is unquenchable? There are those who give little of the much which they have and they give it for recognition and their hidden desire makes their gifts unwholesome. And there are those who give and know not pain in giving, nor do they seek joy, nor give with mindfulness of virtue; They give as in yonder valley the myrtle breathes its fragrance into space. Though the hands of such as these God speaks, and from behind their eyes He smiles upon the earth. The trees in your orchard say not so. nor the flocks in your pasture. They give that they may live, for to withhold is to perish. And who are you that men should rend their bosom and unveil their pride, that you may see their worth naked and their pride unabashed?
31. 도스토예프스키, 진보적 사회와 실존적 개인을 그린 러시아 소설가 [지하로부터의 수기] If he only meant to insult me by that high-official tone, it would not matter, I thought I could pay him back for it one way or another. But what if, in reality, without the least desire to be offensive, that sheepshead had a notion in earnest that he was superior to me and could only look at me in a patronising way? The very supposition made me gasp.
32. 이솝 [이솝 우화집] 민중의 편을 드는 그리스 동화작가 [이솝 우화집] 민음사, 유종호역, 2005, p109,110,183
34. 공자, 군자 교육을 위해 인의예지 사상을 정립한 유학의 창시자 (주희) [논어•중용] 삼성출판사, 한상갑역, 1982, p75, 논어, 제3권 19
35. 존로크, 17세기 영국 경험론 철학자, [정부론] 주니어김영사, 이근용저, 2010, p94, 제4장
36. 마르크스, 인간의 역사는 관념이 아닌 물질에 의해 움직임을 통찰한 사회과학자 [자본론] 주니어김영사, 최성희저, 2010, p117, 제5장
37. 푸코 [감시와 처벌] [담론의 질서], Gutting, Gary, "Michel Foucaul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4 Edition), Edward N. Zalta (ed.), 진태원, 푸코의 주체화 개념 – 주체화 (subjectivation) II, 2012년 10월 통권 018호, 사람과 글 人ㆍ文
39. 푸코 [감시와 처벌] [담론의 질서], Gutting, Gary, "Michel Foucaul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4 Edition), Edward N. Zalta (ed.), 진태원, 푸코의 주체화 개념 – 주체화 (subjectivation) II, 2012년 10월 통권 018호, 사람과 글 人ㆍ文
57. 카프카, 책이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부수는 도끼여야 한다고 생각한 유대인 소설가 [어느 개의 고백] , 양문사, 구기성역, 단기 4292, p147
58. 칼릴지브란 [예언자의 정원] And he answered saying: “When Spring comes to seek His beloved among the slumbering groves and vineyards, the snows shall indeed melt and shall run in streams to seek the river in the valley, to be the cupbearer to the myrtletrees and laurel.”
81. 스피노자 [에티카] 대양서적, 정명오역, 1981, p221, 제4부, 인간의 복종 또는 감정의 힘
82. 까뮈 프랑스 실존주의 소설가, [이방인, L’ÉTRANGER] Alors, je ne sais pas pourquoi, il y a quelque chose qui a crevé enmoi. Je me suis mis à crier à plein gosier et je l'ai insulté et je lui ai dit de ne pas prier. Je l'avais pris par le collet de sa soutane. Je déversais sur lui tout le fond de mon coeur avec des bondis-sements mêlés de joie et de colère. Il avait l'air si certain, n'est-ce pas ? Pour-tant, aucune deses certitudes ne valait un cheveu de femme. Il n'était même pas sûr d'être en vie puisqu'il vivait comme un mort. Moi, j'avais l'air d'avoir les mains vides. Mais j'étais sûr de moi, sûr de tout, plussûr que lui, sur de ma vie et de cette mort qui allait venir. Oui, je n'avais que cela. Mais du moins, je tenais cette vérité autant qu'elle me tenait. J'avais eu raison, j'avais encore raison, j'avais toujours rai-son. J'avais vécu de telle façon et j'aurais pu vivre de telle autre. J'avais fait ceci etje n'avais pas fait cela. Je n'avais pas fait telle chose alors que j'avais fait cette autre. Et après ? C'était comme si j'avais attendu pendant tout le temps cette minute et cette petite aube où je serais justifié. Rien, rien n'avait d'importance et je savais bien pourquoi. Lui aussi savait pourquoi.
83. 스피노자 [에티카] 대양서적, 정명오역, 1981, p224, 제4부, 인간의 복종 또는 감정의 힘
95. 괴테, 독일 고전주의 작가 [파우스트] 삼성출판사, 박찬기역, 1991, p26, 천상의 서곡편
96. 디오게네스, 그리스 견유(犬儒) 철학자, [不明, 그리스 철학자 열전] 동서문화사, 전양범역, 2016, p370, 제6권 2. 디오게네스
97. 도스토예프스키 [지하로부터의 수기] As for what concerns me in particular I have only in my life carried to an extreme what you have not dare to carry halfway, and what`s more, you have taken your cowardice for good sense, and have found comfort in deceiving yourself. So that perhaps, after all, there is more life in me than in you. And try to contrive to be some sort of impossible generalized man. We are stillborn, and for generations past have been begotten, not by living fathers, and that suits us better and better.
98. 니체 [선악을 넘어서] 청하, 김훈역, 1982, p162, 제7장 227
99.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본론, 첫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두 번째 불평등, 제2부 첫 페이지
A poet once wrote a love song and it was beautiful. And he made many copies of it, and sent them to his friends and his acquaintances, both men and women, and even to a young woman whom he had met but once, who lived beyond the mountains. And in a day or two a messenger came from the young woman bringing a letter. And in the letter she said, “Let me assure you, I am deeply touched by the love song that you have written to me. Come now, and see my father and my mother, and we shall make arrangements for the betrothal.” And the poet answered the letter, and he said to her, “My friend, it was but a song of love out of a poet's heart, sung by every man to every woman.” And she wrote again to him saying, “Hypocrite and liar in words! From this day unto my coffin-day I shall hate all poets for your sake.”
134. 도스토예프스키 [지하로부터의 수기] Such is the nature of man. And all that for the most foolish reason, which. one would think, was hardly worth mentioning: that is, that man everywhere and all times, whoever he may be, has preferred to act as he chose and not in the least as his reason and advantage dictated. And one may choose what is contrary to one`s own interests, and sometimes one positively ought. One`s own free unfettered choice, one`s own caprice, however wild it may be, one`s own fancy worked up at times to frenzy, is that very "most advantageous advantage" which we have overlooked, which comes under no classification and against which all systems and theories are continually being shattered to atoms. Part 1 Underground, Chapter 7.
135. 하르트만, 독일의 존재 철학자, [미학] 을유문화사, 전원배역, 1984, p405, 제3부, 제2장
148. 몽테뉴 [수상록] 범우사, 손석린역, 1983, p77, 철학을 공부하는 것은 죽기를 공부하는 것이다
149. 루소 [에밀] 제2편 With our foolish and pedantic methods we are always preventing children from learning what they could learn much better themselves, while we neglect what we alone can teach them. What is to be, therefore, of that cruel education which sacrifices the present to an uncertain future, that burdens a child with all sorts of restrictions and begins by making him miserable, in order to prevent him for far-off happiness which he never enjoy. Therefore freedom, not power, is the greatest good. The man in truly free who desires what he is able to perform, and does what he desires.
151. 공자(주희) [맹자•대학] 삼성출판사, 한상갑역, 1987, p422, 대학, 본편
152. 알튀세르, 프랑스 마르크스주의자 [마르크스를 위하여], Lewis, William, "Louis Althusse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4 Edition): Edward N. Zalta(ed.), 인문학공동체 에피쿠로스 [철학사 49]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 by 이우: http://www.epicurus.kr/Humanitas/386837, 이재유 [계급] 책세상, 2008, 참고, 내용 재구성
157. 베르그송, 프랑스 생명 철학자 [창조적 진화] 주니어김영사, 윤원근저, 2010, p210,p214, 제11장 158.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주니어김영사, 임선희저, 2010, p64,p177, 제2장,제6장
159. 칼릴지브란 [매혹] 민음사, 정현종역, p52,p69, 이성과 앎에 대하여, 지혜에 대하여
Every evil has its remedy, except folly. To reprimand an obstinate fool or preach to a dolt is like writing upon the water. Christ healed the blind, the halt, the palsied, and the leprous. But the fool He could nor cure. Learning is the only wealth tyrants cannot despoil. The true wealth of a nation lies not in its gold or silver but in its learning, wisdom, and in the uplightness of its sons. The riches of the spirit beautify the face of man and give birth to sympathy and respect. The spirit in every being in made manifest in the eyes, the countenance, and in all bodily movements and gestures.
160. 플라톤 [국가] 동서문화사, 왕학수역, p109, 제2권
161. 키케로 [의무론] 주니어김영사, 윤지근저, 2010, p186, 제11장
162. 존로크 [정부론] 주니어 김영사, 이근용저, 2010, p94, 제4장
163. 윌리엄 고드윈, [정치적 정의], Philp, Mark, "William Godwin",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Summer 2013 Edition): Edward N. Zalta (ed.), 하승우 [아나키즘] 책세상, 2008, Anarchy Space, http://anarchian.tistory.com/595 [아나키즘] 영국의 아나키스트 고드윈,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http://terms. naver.com/entry.nhn?docId=70943&cid=43667&categoryId=43667
164. 푸코 [감시와 처벌] [담론의 질서], Gutting, Gary, "Michel Foucaul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4 Edition), Edward N. Zalta (ed.), 진태원, 푸코의 주체화 개념 – 주체화 (subjectivation) II, 2012년 10월 통권 018호, 사람과 글 人ㆍ文
171. 파르메니데스, 그리스 존재 철학자, [자연에 대하여], 김남두, 파르메니데스 「단편들」 철학사상 별책 제7권 제7호, 2006,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그리스 철학자 열전] 동서문화사, 전양범역, 2016, p591, 제9권 3, Palmer, John, "Parmenide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6 Edition), Edward N. Zalta (ed.)
172. 모세, 이스라엘 예언자, [탈무드] 평등에 대한 탈무드의 지혜
173. 토마스리드, 스코틀랜드 상식 철학자, [인간 정신 연구], 이재영, 토마스리드의 지각이론,범한철학 제24집, 2001가을, Nichols, Ryan and Yaffe, Gideon, "Thomas Rei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6 Edition), Edward N. Zalta (ed.)
194. 복희, 기원전 2,800년 지상에서 살았던 전설 속 인간 [주역: 괘효사, 계사하전, 설괘전] 한국주역대전DB, 연구책임자 최영진, 성균관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주역] 홍신문화사, 노태준역해, 1985, 『周易四箋』과 정약용의 易해석 방법, 금장태, 東亞文化 第44 輯, Jeong Yak-yong's Methods of Interpretation on The Book of Changes.
209. 루소 [에밀] 서문, We know nothing of childhood: and with our mistaken notions the further we advance the further we go astray. The wisest writers devoted themselves to what a man is ought to know, without asking what a child is capable of learning. They are always looking for the man in the child, without considering what he is before he becomes a man.
초등 4학년까지는 수업이 어렵습니다. 단, 지적 호기심이 있고 집중력이 있는 아이라면 수강 가능합니다.
수업 전 확인해요
직접 준비해요
1필기도구, 노트, 자료실 첨부 자료 프린트물 (20장~32장)
필독
구독 수업 안내
선생님 정보
이지훈
5| 191개의 누적 후기
글쓰기 교육은 글 쓰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의 깊이와 그릇을 크게 해주는 과정입니다.
2,500년 최고의 인문 고전 독서를 통해 아이들 생각의 바다를 깊고 그윽하게 만들어 드립니다.
<강사 소개>
강사는 인류 철학을 통합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대중화에 힘쓰는 인문철학자이자 자기성찰적 작가로, "통합사유철학"이라는 독자적인 철학적 접근법을 제안·개척하고 있다. 그의 저술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 질문-즉, 우리가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탐구하며, 이를 통해 진정한 행복과 자아실현의 길을 모색하도록 독자들을 이끈다.
1. 철학적 체계 구축과 통합사유철학
강사는 "통합사유철학"이라는 독자적 철학 체계를 제안하며, 2,500년 인류 철학을 3차원 좌표계로 재구성했다. "존재", "의지", "인식"을 기본축으로 삼고, 이들의 반대 개념인 "반존재", "반의지", "반인식"을 도입해 사유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플라톤부터 니체까지 다양한 철학 사상을 통합적으로 조명하며, 철학을 "소수의 전문가 영역"에서 "일상적 사유 도구"로 전환하려는 혁신적 시도를 이끌었다.
2. 교육자로서의 활동
그는 철학의 대중화에 주력했다. 다양한 교육 공간에서 《통합사유철학강의》를 진행하며, 인류 사유의 역사를 8개의 공간(예: 사유 표출 공간, 니힐리즘 공간)으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삶의 방향성을 탐구하는 강의를 펼쳤다. 또한 《고전인문철학수업》 강의에서 《이솝우화》《어린 왕자》《데미안》《국가》《장자》등 문학 작품과 철학을 접목해 인문철학 교육의 접근성을 높였다.
3. 주요 저술 활동
그의 작품 대부분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 요소들을 재해석하고, 보다 깊은 자아실현과 행복을 위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통합사유철학강의》: 인류 철학을 체계화한 대표작으로, 2014년 초판 출간 이후 널리 보급되었다.
《즐거운 여름밤 서늘한 바람이 알려주는 것들》: 실존적 치유와 자아 성찰을 주제로 한 인문서로, 삶의 허무함을 겪는 독자들에게 희망을 전달한다.
《행복 따위 필요 없다》: 행복을 "삶의 유일한 목표"에서 "부차적 결과"로 격하시킨다.
4. 학문적 비전
그는 철학을 통합적 "삶의 지도"로 재정의하며, "자유 정신적 평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통합사유철학강의》에서 "인간의 회복은 자유와 평등한 사유에서 시작된다"고 주장하며, 개인의 자율적 사유를 통한 사회적 치유를 제시한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교육 혁신을 위해 다양한 기술적 도구와 플랫폼을 활용해 철학 학습의 접근성을 높였다.
• 통합사유철학:
작가는 인간의 삶을 "존재, 의지, 인식"의 세 가지 축으로 이해하며,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진정한 행복과 진리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본다. 그의 저서들은 이러한 철학적 틀을 바탕으로, 개인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행복에 이르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실천과 연습의 가치:
그의 저술은 단순한 이론 전달을 넘어서, 행복은 하루아침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자기 개선과 실천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진리의서" 시리즈에서는 올바른 삶의 자세와 자기 성찰이 어떻게 개인을 변화시키고 내면의 진리를 체득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 자기성찰적 접근:
작가는 잘못된 교육이나 사회가 정해놓은 틀에 갇힌 기존의 인식들을 비판하고, 독자들이 스스로의 경험과 감정을 통해 새로운 진리를 발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이를 통해 그는 독자들에게 단순히 행복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을 재발견하는 과정을 권유합니다.
5. 평가와 영향력
그의 작업은 단순한 학문적 연구를 넘어 실천적 철학으로 평가 받는다. 그의 통합적 접근법은 복잡한 철학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며, 독자로 하여금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새롭게 탐구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8개 사유 공간" 이론은 개인의 정신적 혼란을 체계적으로 해석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철학의 실용적 가치를 입증했다. 종합하면, 작가는 철학을 학문의 경계에서 끌어내어 일상 속 실천으로 연결한 선구자이다. 그의 작업은 인문학의 대중화와 현대 사회의 정신적 회복에 기여하며, 철학적 사유가 지닌 힘을 재발견하게 한다. 작가의 저술은 단순히 철학적 사유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 각자가 일상 속에서 겪는 불안, 고독, 그리고 혼란을 극복하고 진정한 자아를 회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의 글은 철학적 깊이와 동시에 따뜻한 위로와 실천적 지침을 함께 담고 있어, 독자들로 하여금 스스로의 삶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개선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작가는 인문철학과 자기계발의 경계를 넘나들며, 삶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깊은 성찰과 실천적 지혜를 선사하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김주호 인문철학총서>
총서 1. 통합사유철학강의
총서 2. 존재 [나]에 대하여
총서 3. 즐거운 여름밤 서늘한 바람이 알려주는 것들
~
총서 58. 여덟 나와의 만남
총서 59. 행복 따위 필요 없다